[강원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주택수선 과정을 한번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강원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은 저소득층, 주거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우리 사회의 주거권 강화를 위해 여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 사업들 중 하나인 LH 수선유지급여 사업이 어떤 방식으로 수행이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LH 주거행복 페스타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수선유지급여 주택수선 공모사례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상지 주거 특성 및 현장 조사 실시
대상지 주거 지역 특성과 주거지 특성을 면밀히 살펴봅니다. 도심지 낙후지역 여부, 노후 주택 여부, 주변 건물 밀집도와 함께 공간이 협소하진 않는지, 대상지 재활용 가능 자재 여부 등등 다각면에서 조사를 실시합니다. 이 조사를 통해 어떤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지, 기한은 얼마나 걸릴지, 무엇을 유의하며 작업을 해야하는지 등 여부를 확인하게됩니다. 대상지 거주민이 주거취약계층일 경우 LH주택공사 강원본부와 강원도 소방본부, 춘천 시청, 강원광역자활센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주택수선을 실시하게 됩니다.
2. 조사 결과 바탕으로 종합 문제 분석 -> 방향 설정
본격적인 주택수선에 들어가기 전에, 앞서 조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공사 방향을 설정하게 됩니다. 수선포인트, 공정순서를 설정하고 평면도를 작성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작업의 안정성, 효율성과 함께 완성도를 올리게 됩니다. 작은 시험을 볼때에도 적절한 계획에 의하여 공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것을 생각해보면, 이런 규모 있는 사업에서의 사전계획의 중요성은 두 번 생각해보지 않아도 충분히 알거 같네요.
3. 미리 설정한 계획에 따라 현장 시공에 착수
필요한 작업을 꼼꼼하게 처리하고, 혹 계획과 다른 부분이 생긴다 하여도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춘 강원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여러분들은 당황하지 않고 깔끔하게 문제를 해결해 냅니다. 안전하고 따뜻한 집으로 만드는것은 기본이고 주택수선 대상자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공을 진행합니다. 예를 들면 청소년 자녀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수선이 완료된 주택은 대상 가구에게 안정감과 따뜻함을 전해주며 우리 사회의 주거복지 실현에 일조합니다.
개략적으로 ① 대상 선정, 조사 실시 → ② 계획, 방향설정 → ③ 시공 이렇게 세단계로 나눠지지만 그 하나 하나의 과정을 마치기까지 얼마나 꼼꼼하게 살펴보고 분석하고 고민할지는 저로써는 알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흘린 땀 한방울 한방울이 주거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거복지를 실현하며 우리사회의 주거권을 강화하고 더 나아가 사람들에 삶의 희망을 전해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겠지요?
항상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며 사회적 가치의 증진을 위해 땀 흘리고 계신 우리 강원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여러분들께 따뜻한 응원과 뜨거운 박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따스함을 나눠주세요. 후원해주세요 ^-^
